(한국전쟁사) 한국의 분단 1945 - 1948 post 3

Flag_map_of_Divided_Korea_(1945_-_1950).png.png)

1945 년 7 월 포츠담 회의에서 소련 지상군이 한반도의 일본군을 격퇴시키는 책임을 지는 것에 대해 미국과 러시아의 군사지도부간에 쉽게 합의하자, 트루먼 대통령의 정무 보좌진들은 그런 행동의 함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적군(소련군)이 폴란드에서 독일 군대를 격퇴 한 후 러시아는 친 모스크바 정부를 설치했으며, 이는 해방된 유럽에 자유선거를 보장하겠다는 동맹국들의 합의를 위반했다는 것이다. 러시아가 자신들의 중요한 완충 지대로 보았다는 점에서 폴란드는 한국과 비슷했다. 그 위치로 인해, 폴란드가 독일에서 소련으로 이르는 침략의 경로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일본이 아시아 대륙으로 침략하기 위한 육교였다. 그래서 미국 외교관들은 소련의 한국 점령이 “동양에 이식 된 폴란드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제 우리는 왜 미국이 소련이 한국에 친 모스크바 정부를 세우려고 하는 것에 우려하는지를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전쟁이 일어나기 이전, 미국은 일본의 한국지배를 결코 반대한 적이 없었으며, 전시 협상 중에도 한반도에 대한 통제권을 얻는 데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한국의 정치적 미래에 대한 미국의 새로운 관심은 1945년 늦은 여름에 이르러 소련과의 전시 협력이 영국과 미국과 전쟁이전의 관계를 규정하던 이데올로기적 적대감과 지정 학적 경쟁의 복귀로 대체 될 것이 분명해진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소련이 군사적으로 훨씬 강력해졌다. 더욱이, 동유럽에서 적군(소련군)의 행동은 소련이 다가오는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자신들이 통제하는 국경의 영토를 크게 확대시키고자 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미국의 전략 기획자들은 다가오는 소련과의 갈등을 보면서, 군대가 소련과의 전쟁에서 어떻게 해야할지를 고려했다. 그들은 대규모 전쟁을 위한 가용한 능력을 확인했다. 제 2 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미국, 영국, 소련, 독일, 일본 등 5 개국 만이 존재할 것이었다. 패배한 과거의 적국은 전쟁으로 심하게 손상을 입었고, 그들의 군대는 전후 점령 기간 동안 그들의 군대가 해산되어야 할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기본적인 전쟁 능력은 그대로 유지되고 회복될수도 있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독일과 일본이 소련측에 합류 할 것인지였다. 영국과 미국이 소련과 전쟁은 가까스로 가능할 수도 있었으나, 만일 모스크바가 독일과 일본의 지원을 획득한다면 소련을 패배시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었다.

전후 세계에 대한 관점에서 볼 때, 소련이 통제하는 한반도의 가능성은 중요했으며 이는 일본이 모스크바의 통제하에 놓일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적군(소련군)이 한국을 장악한다면, 이는 일본 공산당을 고무할 것이며 결국 일본인들로 하여금 소련이 조만간 일본을 점령할 것이라는 파국적인 생각으로 이끌어 나갈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한반도의 소련군 진출은 소련 군이 일본 남부까지 쉽게 공격 할 수있을 것이었다.

소련이 일본을 장악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이 극동에서 미국의 가장 중요한 목표였다. 결과적으로 일본 정부가 일본이 항복 할 것이라는 일본의 약속 워싱턴이 접수하자마자, 미국의 정치 군사 지도자들은 지상 작전을 위해 한국을 소련의 지역에 놓기로 한 포츠담의 합의를 즉시 재검토했다. 소련군은 이미 북쪽으로 이동했지만, 미국은 그들이 한반도 전체를 점령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었다.

따라서 국무부-전쟁성-해군성 조정위원회는 8 월 10 일 밤 늦게 펜타곤에서 만나 일본군의 항복을 규정하는 제 1 일반 규정 초안을 작성하면서, 그들은 미군이 한반도의 일부를 차지한다는 조항을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딘 러스크 (Dean Rusk) 대령과 찰스 본스틸(Charles Bonesteel) 대령은 미군이 한반도에 도달하기 위해 얼마나 걸릴 것 인가를 고려하는 가운데 미국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제안을 만들기 위해 지도실로 갔다. 그들은 38도선으로 나뉘어진 두개의 지역을 제안했으며, 여기에 모스크바가 새로운 계획을 거부할 경우 미군이 도달할 수 있는 지역보다 북쪽에 있는 서울을 미국의 지역에 두었다. 국부부-전쟁성-해군성 조정위원회는 이 제안을 수락했으며 이를 일반명령 1호에 포함시켜 스탈린의 승인을 위해 즉각 모스크바로 보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한국전쟁사) 한국의 분단 1945 - 1948 post 3’

(Korean War HistoryThe Division of Korea, 1945-1948, Post #3

Dr. Kathryn Weathersby

Flag_map_of_Divided_Korea_(1945_-_1950).png.png)

At the Potsdam Conference of July 1945, as the American military leadership easily reached agreement with their Russian counterparts that Soviet ground forces would be responsible for defeating Japanese troops in Korea, President Truman’s political advisers began to express their concerns about the implications of such action. The problem was that after the Red Army defeated German forces in Poland, it had installed a pro-Moscow government, in violation of the agreement the allies had made that they would guarantee free elections for liberated Europe. Poland was similar to Korea in that Moscow saw it as an important buffer zone. Because of its location, it was the invasion route from Germany to the Soviet Union, just as Korea was the land bridge for Japanese invasion of mainland Asia. Therefore, American diplomatic officials feared that Soviet occupation of Korea would be “the Polish problem transplanted to the East.”

Now, we might ask why the Americans cared whether the Soviets set up a pro—Moscow government in Korea. After all, before the war the US had never objected to Japanese domination of Korea, and during wartime negotiations had never shown any interest in gaining control over the peninsula. The reason for this new American concern over Korea’s political future was that by late summer of 1945 it had become clear that wartime cooperation with the Soviet Union would soon be replaced by a return to the ideological hostility and geopolitical rivalry that had marked Moscow’s prewar relations with Britain and America. This time, however, the Soviet Union would be far stronger militarily. Moreover, the conduct of the Red Army in Eastern Europe indicated that the USSR was preparing for the coming conflict by greatly expanding the territory it controlled along its border.

As American strategic planners looked to the coming conflict with the USSR, they considered how forces might align in a war with the Soviets. They identified the possible sources of large-scale war-making capacity.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there would be only five: the US, UK, USSR, Germany, and Japan. The defeated former enemy states were badly damaged from the war and their armies would be disbanded during postwar occupation. However, their basic war-making capacity would remain and could be revived.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question was whether Germany and Japan would join the Soviet side. It would be hard enough for the British and Americans to fight a war with the Soviet Union, but if Moscow had German and/or Japanese resources on its side, it might be impossible to defeat it.

Within this view of the postwar world, the possibility of a Soviet-controlled Korean peninsula became important because such an outcome could make it more likely that Japan would fall under Moscow’s control. If the Red Army dominates Korea, this would encourage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and could lead the Japanese population to assume fatalistically that the Soviet Union would sooner or later take over Japan as well. Moreover, it would put Soviet armed forces within easy striking distance of southern Japan.

For the United States, preventing the Soviet Union from taking control of Japan was the most important goal in the Far East. Consequently, as soon as Washington received word from Tokyo that Japan was going to surrender, American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immediately reconsidered the agreement the US had reached at Potsdam that placed Korea in the Soviet zone for ground operations. Soviet forces had already moved into northern Korea, but the US wanted to prevent them from occupying the entire peninsula.

Therefore, as the State-War-Navy Coordinating Committee met at the Pentagon late into the night on August 10 to draft General Order Number One that would govern the surrender of Japanese forces, they decided to include a provision that American forces would occupy at least a portion of Korea. Colonels Dean Rusk and Charles Bonesteel were sent to the map room to formulate a proposal that would satisfy American concerns while taking into account how long it would take US forces to reach the Korean peninsula. They recommended creating two occupation zones divided at the 38th parallel, which would place Seoul in the American zone, even though this line was further north than US forces could reach if Moscow refused to accept the new plan. The State-War-Navy Coordinating Committee accepted this proposal and included it in the draft of General Order Number One they immediately sent to Moscow for Stalin’s approval.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Korean War HistoryThe Division of Korea, 1945-1948, Post #3’

(한국전쟁사) 한국의 분단 1945 -1948 post # 2

오늘의 포스팅은 한반도 분단을 미국과 소련이 결정했다고 하는 포츠담 회담에서는 한반도 분단과 관련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웨더스비 교수는 이러한 내용을 방대한 양의 문서고 자료를 통해 검증을 했고 지금 여기에서는 자신의 연구결과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 진실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야 말로 학문의 출발점이 아닌가 합니다.

포스트 #2
한국의 분단, 1945 - 1948
Dr. Kathryn Weathersby

1945 년 2월 얄타의 스탈린 휴양지에서 소련, 미국 그리고 영국 동맹국이 전후 처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회동을 하기 전, 미국과 영국은 소련이 어떤 대일본전 참전 댓가를 요구하려 하는지 알고 싶어 했다. 스탈린은 다소 온당하게 러시아가 1904 ~ 05 년 러일 전쟁에서 패한 이후 일본에게 뺏긴 영토를 회복하는 것이 그의 목표라고 주장했다. 이는 사할린 남부 섬, 적어도 홋카이도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쿠릴 섬의 최북단 그리고 러시아가 1890 년에 만주에 건설 한 철도 및 항구의 환수를 의미했다. 소련 지도자는, 일본으로 진출하기 위한 발판 혹은 그런 공격에 대항하기 위한 완충지로서의 한반도의 전략적 중요성을 명확하게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대한 어떠한 요구도하지 않았다.

역사적 기록은 이 점에 대해 명확하지 않지만, 역사적인 선례를 보았을때 스탈린이 말을 하지 않은 것은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04 년 전쟁 이전 러시아는 한국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보다는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러시아는 진해 해군 기지 임대와 광업 할양을 통해 귀중한 광물 자원을 확보 함으로써 한국 영토의 유용한 부분에 접근해 왔다. 더욱이 러시아는 고종의 내각이 어떤 경쟁국가도 완벽한 통제력을 장악하지 못하도록 하여 한반도에서의 힘의 균형 유지하려는 짜르정부를 돕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므로, 루스벨트가 스탈린에게 신탁통치에 관한 아이디어를 설명했을 때, 소련 지도자는 그러한 계획이 러시아의 1905 년 이전 전략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방법으로 보았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스탈린은 계획에 반대하지 않았다. 그는 신탁통치가 얼마나 오래동안 지속될 것인지와 미국이 한국에 군대를 배치 할 것인지 여부를 물었다. 주목해야 할 것은 한국의 신탁통치에 관한 논의가 사적인 양자회담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대통령은 공식적인 회의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발표하지 않았으며 이는, 전후에 미국이 해방될 영국의 영토를 대영제국의 지배하에 되돌려 주지 않고 신탁통치를 하려고 한다고 의도하고 있다고 경계하여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가 이런 개념에 격렬하게 반대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연합군 지도자들은 다음달 7 일 베를린 교외의 포츠담에서 만났다. 독일이 5 월에 항복했기 때문에 유럽의 많은 영토 문제가 해결되어야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에게는 소련의 대일본 전쟁 참여 계획이 특히 중요했다. 얄타 (Yalta)에서 스탈린은 독일을 패배시킨 후 3 개월안에 동쪽에서 전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따라서 다음 달부터 침공이 시작될 것이었으며, 미국과 소련 군대는 협력 조건을 타결했다.

소련 총참모장 알렉세이 안토노프 (Alleksei Antonov)는 포츠담에서 대독일전에서 소련이 수행 한 것처럼 미국도 대 일본전에서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고 추켜 세우면서 토론을 시작했다. 안토노프 (Antonov)는 적군(소련군)이 진격할 동안, 미국이 한국 해안에 상륙할 작전을 계획했는지 정중히 물었다. 미국 참모총장은 실제로 그러한 가능성을 논의했지만 미군이 일본 본토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 한 이후에야 ​​한국에 상륙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미 육군 참모총장 조지 마샬 (George C. Marshall)은 안토노프 (Antonov)에게 미국은 자신들의 선박이 일본의 자살 공격에 노출 될 수 있기 때문에 상륙작전을 수행 할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규슈에 예정된 상륙을 위해 이용 가능한 모든 공격용 선박이 필요했다. 전쟁이 여러 달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던 마샬 장군은 규슈에 대한 통제를 확보안 시점, 미군항공기가 일본의 최남단 비행장에서 한반도를 엄호할 수 있는 시점에 한국에 대한 공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적군(소련군)이 공격을 시작하자마자 미 공군과 해군이 한국에서의 연료공급 및 통신라인을 파괴하고 일본의 항공기와 해군 함정을 파괴 할 것이라고 동의했다.

왜 한국이 나뉘어 졌는지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련과 미국이 포츠담 회의에서 그런 합의를 했다고 확고하게 주장했다. 그러나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이 운명의 과정에서 한반도에서 일본 군대를 물리 치는 데 군대가 책임을 진다는 것이 유일한 합의였다는 것이다. 소련과 미군의 지도자들은 적군(소련군) 지상군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미 공군과 해군이 지원할 것을 어려움없이 결정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포츠담에서의 만남 직후 전쟁이 예기치 않게 빨리 끝났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정치적 우려가 어떻게 워싱턴의 최전방으로 이동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한국전쟁사) 한국의 분단 1945 -1948 post # 2’

(Korean War History) Post #2 The Division of Korea, 1945-1948

by Dr. Kathryn Weathersby

Before the Soviet, American, and British allies met at Stalin’s Crimean vacation home in Yalta in February 1945 to plan the postwar settlements, the US and UK wanted to find out what gains the Soviet leader would require in exchange for entering the war against Japan. Stalin rather modestly stated that his goal was to regain the territories Russia had lost to Japan after its defeat in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05. This would mean return of Southern Sakhalin Island, at least the northernmost of the Kurile islands that run north from Hokkaido, and the railroads and ports Russia built in Manchuria in the 1890s. The Soviet leader made no demands regarding Korea, even though he was clearly aware of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peninsula as a springboard for a Japanese invasion or as a buffer against such an attack.

The historical record is not clear on this point, but it appears that historical precedent was the reason for Stalin’s reticence. Before the war of 1904, Russia had sought influence in Korea rather than outright control. It had gained access to useful parts of Korean territory, through its lease of Jinhae naval base, and to valuable mineral resources through mining concessions. Moreover, Russian influence at King Kojong’s court had helped the Tsar’s government maintain a balance of power on the peninsula, preventing any rival power from gaining complete control.

Therefore, when Roosevelt presented his trusteeship idea to Stalin, the Soviet leader may have seen the arrangement as a way to return to Russia’s pre-1905 strategy. In any case, Stalin did not object to the plan. He asked only how long the trusteeship would last and whether the US intended to station troops in Korea.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discussion on trusteeship for Korea took place only in a private bilateral meeting. The president did not raise the idea in an open meeting of the conference because British Prime Minister Winston Churchill vehemently objected to the concept, fearing that the Americans intended to place under trusteeship British territories that would be liberated after the war, rather than restoring them to the British Imperial rule.

Allied leaders next met in July, in the Berlin suburb of Potsdam. Since Germany had surrendered in May, many territorial issues in Europe remained to be resolved. For the Americans and the Soviets, however, plans for Soviet entry into the war against Japan were particularly important. At Yalta, Stalin had promised that he would enter the war in the East three months after Germany was defeated. The invasion would therefore begin the following month, and the American and Soviet military commands needed to work out terms of cooperation.

Soviet Chief of Staff General Aleksei Antonov began the discussion at Potsdam by deferring to the Americans, who were bearing the brunt of the war against Japan as the Soviet had done in the war against Germany. Antonov respectfully asked whether the US planned to conduct operations against the Korean coast while the Red Army advanced on the ground. The US Chiefs of Staff had in fact discussed such a possibility but had concluded that American forces could land in Korea only after they had secured control of the Japanese home islands. US Army Chief of Staff General George C. Marshall explained to Antonov that the US did not plan to conduct amphibious operations in Korea because their ships would be exposed to Japanese suicide attacks. Moreover, all available assault ships were needed for anticipated landings on Kyushu. Anticipating that the war would continue for many months, Marshall stated that the US would consider making an attack on Korea after it had established control of Kyushu, at which time American planes could cover the peninsula from airfields on the southernmost Japanese island. He did agree, however, that as soon as the Red Army began its assault, US Air Force and Navy would destroy fuel supply and communications lines in Korea, as well as Japanese aircraft and naval vessels located there.

Whenever the issue arises of why Korea was divided, most people confidently assert that the Soviets and Americans made an agreement to do so at the Potsdam Conference. We can see, however, that at that stage in this fateful course of events, the only agreement the allies made concerned which military forces would be responsible for defeating Japanese troops on the peninsula. Soviet and American military leaders decided without contention that Red Army ground troops would play the major role, while American air and naval forces would provide assistance. In the next post, we will examine how political concerns regarding Korea moved to the forefront in Washington as the war came to an unexpectedly quick end soon after the meeting in Potsdam.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Korean War History) Post #2 The Division of Korea, 1945-1948’

(한국 전쟁) 한국의 분단 1945 - 1948, post # 1

웨더스비 교수의 한국전쟁에 대한 첫번째 포스팅입니다. 한글로 번역을 했습니다.
매끄럽지 않지만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문을 받으면 먼저 올리고 다음날 번역문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포스트 #1
한국의 분단, 1945 - 1948
Dr. Kathryn Weathersby

한국 현대사의 가장 근본적이고 비극적인 사실은 1945 년 일본 통치에서 해방직후에 2 개의 적대적인 국가로 분단되었다는 것이다. 모든 관련 당자들은 이 비극을 예측하지 못했다. 이 두개의 국가를 초래한 미국과 소련이 그러한 결과를 의도하거나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떻게 그리고 왜 이 비극이 일어났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일이다. 그러므로 한국이 왜 어떻게 분단되었는가를 간단하게 서술하기는 간단치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왜 1950-53 년 전쟁이 발생했는지를 이해하려 한다면, 우리는 충돌의 전제 조건인 한국의 분단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검토하는데서 부터 시작해야한다.

다음의 몇 포스팅에서 필자는 1945년 한반도를 점령 한 두 세력의 목표, 인식 및 행동이 1948 년에 분단국가를 창설하게 되었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시도를 할 것이다. 첫 번째 언급해야 할 상황은 전후 한국에 대한 동맹국의 결정은 미국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일본에 대한 전쟁에서 미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었다. 영국은 1942 년 싱가포르가 일본에 넘어간 이후 동남아시아를 떠났고, 독일과의 전쟁에서 가능한 모든 자원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일본이 패배 할 때까지 동아시아로 돌아가지 않았다. 프랑스는 유사하게 태평양에있는 전쟁에 공헌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 중국 국민당의 군대뿐만 아니라 중국 공산당의 군대도 분명히 중국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고, 거기에는 국민당 지휘 아래서 싸운 수 백명의 한국인과 중국 공산당과 함께 싸운 수천 명의 한국인들도 포함되어있었다. 그러나 중국 군대는 현대화 되어 있지도 기계화되어 있지도 않았다. 결과적으로 중국인과 한국인은 상당수 일본군과 교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적을 패배시킬 수는 없었다.

1941년 12월 7일일본의 진주만 공격 이후 전쟁에 돌입하면서, 미국은 일본을 패배시키기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소련군은 1941년 6월 22 일 독일의 침공이후 동맹국들과 함께 싸우고 있었으며, 워싱턴은 만주 및 한반도와 접해 있던 소련군으로부터 신속한 도움을 얻고자 했다. 그러나 소련은 영국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독일의 공격에 저항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여야 했다. 따라서 모스크바는 일본에 대한 전쟁에 가담해달라는 미국의 요청을 거절하고 독일의 침공 2 개월 전에 도쿄와 체결한 중립조약을 철저히 준수했다. 소련은 독일에 대한 전쟁이 끝날 때까지 동쪽에서 전쟁을 치르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모스크바는 일본이 공격할 수 있는 핑계를 줄 것을 우려하여 1943 년 11 월 카이로에서 개최 된 극동의 전후 타협에 관한 최초의 동맹국 토론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 회의에서 영국, 미국 및 중국은 일단 일본이 패배하면 한국은 “절절한 절차”에 따라 자유로운 독립국이 될 것임을 합의했다. 그러나 동맹국들은 1945년 2월 독일의 패배가 임박한 얄타의 크림 반도 리조트의 리조트인 얄타에서 다시 만날 때까지 동아시아에서의 전후 해결에 대해 더 이상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았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Franklin Roosevelt) 미국 대통령은 얄타 회담이 열리기 전까지, 세계 주요국가들이 제3차 세계 대전의 발발을 피할 수있는 방법을 만든다는 그의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만들어왔다. 제1차 세계 대전은 “모든 전쟁을 끝내기위한 전쟁”이라고 불렸지만, 단 21년 후에 더욱 파괴적인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제 2 차 세계 대전이후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 압도적으로 우세하게 등장한 국가의 지도자로서, 루즈벨트는 전후 합의와 세 번째 충돌을 막을 수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자신의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유엔의 설립은 기본적인 것으로, 이는 모든 회원국-크던 작던-들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협력 할 수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이었다.

유엔과 함께, 루스벨트는 유엔 이외에 독일, 이탈리아 또는 일본 통치로부터 해방 될 수있는 세계의 특정 지역을위한 별도의 협력 구조를 만들 계획을 했다. 불행하게도 한국은 그런 곳의 하나였다. 루스벨트 (Roosevelt)는 최근 수십 년 동안 한국을 둘러싼 세력이 1884 ~ 85 년 중일 전쟁과 1904 ~ 05 년 러일 전쟁을 치룬 것을 분명하게 알고 있었다. 따라서 대통령은 일본의 패배가 이번에는 한국을 둘러싼 중국과 소련 간의 새로운 갈등을 초래할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과를 피하기 위해 루스벨트는 소련 지도자 조셉 스탈린에게 중국, 영국과 함께 국제 사회의 신탁 통치를 수립으로써 전시 동맹국들이 한국을위한 새로운 정부 창설에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

물론 전쟁이 끝나면서 소련과 다른 한편으로 영국, 미국, 중국국민당간의 협력이 거의 없을 것이라는 것이 매우 신속하게 분명 해졌다. 더욱이, 신탁 통치 구상은 당연히 스스로 자국의 새로운 정부를 세울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한 한국인의 의지를 무시했다. 루스벨트는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동맹 간의 내재적 갈등을 과소평가했고, 한국인의 희망과 능력을 심각하게 무시했다. 신탁 통치 구상은 한국 분단의 기초를 초래했으며. 이는 강대국의 쇼비니즘과 오만의 비극적인 예로서 비판받아 마땅한 것이다. 동시에 한국에 대한 신탁 통치를 창출하려는 계획은 루스벨트가 제 3 차 세계 대전을 피하려는 욕망에서 제기 된 것이지 한반도 남부에 미국의 지배를 확립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한국 전쟁) 한국의 분단 1945 - 1948, post # 1’

(Korean War History) post # 1, The Division of Korea, 1945-1948

Post #1
The Division of Korea, 1945-1948
Dr. Kathryn Weathersby

The most fundamental and tragic fact of modern Korean history is that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was immediately followed by its division into two hostile states. This tragedy was unexpected by all parties involve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nd why it happened because the countries that brought it about –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 did not intend or desire such an outcome. There is therefore no simple narrative that explains how and why Korea was divided. Nonetheless, if we are to understand why the war of 1950-53 came about, we must begin by examining how the precondition for that conflict – the division of Korea – happened.

Over the next several posts, I will attempt to explain how the aims, perceptions, and actions taken by the two powers that occupied the peninsula in 1945 resulted in the creation of separate states in 1948. The first circumstance to note is that the initiative for allied decisions on postwar Korea came from the United States because it was the US that played the dominant role in the war against Japan. The British left Southeast Asia after Singapore fell to Japan in 1942, and since their war against Germany required all possible resources, they did not return to East Asia until after Japan was defeated. The French similarly were in no position to contribute to the war in the Pacific. The military forces of Nationalist China, as well as thos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ertainly fought against Japanese troops in China, and their ranks included several hundred Koreans who fought under Nationalist command and many thousands who fought with the Chinese Communists. However, neither Chinese army was a modern, industrialized fighting force. Consequently, while Chinese and Korea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gaging substantial Japanese forces, they were not able to defeat their enemy.

It was thus left to the Americans to play the dominant role in defeating Japan, once the US entered the war following the Japanese attack on Pearl Harbor on 7 December 1941. Washington tried to get help right away from the Soviets, who had a land border with Manchuria and Korea and were now fighting on the allied side since Germany invaded the Soviet Union on 22 June 1941. However, like the British, the Soviets had to devote all their strength to resisting the powerful German assault. Moscow therefore rebuffed American appeals to join the war against Japan and instead held scrupulously to the neutrality pact it had concluded with Tokyo two months before Germany attacked. The Soviets naturally regarded it as essential that they not fight a war in the East until after their war against Germany was finished.

Moscow was so afraid of giving Japan an excuse to attack that it declined to join the first allied discussions about a postwar settlement in the Far East, which were held in Cairo in November 1943. At that meeting, the UK, US, and Republic of China agreed that once Japan was defeated, Korea would “in due course” become free and independent. The allies made no further clarification of the postwar settlement in East Asia, however, until they met again in the Crimean resort of Yalta in February 1945, when the defeat of Germany was imminent.
By the time of the Yalta conference, US President Franklin Roosevelt had worked out his ideas for how to accomplish his main objective: creating means by which the nations of the world could avoid the outbreak of a third world war. World War I had been called “the war to end all wars,” but just 21 years later an even more destructive global conflict had begun. As the leader of the country that would emerge from the second world war with overwhelming dominance economically and militarily, Roosevelt felt it was his responsibility to create postwar agreements and structures that could prevent a third conflagration. Establishing the United Nations Organization was fundamental, as it would provide a structure within which all member states – large and small – could cooperate to resolve conflicts peacefully.

In addition to the UN, Roosevelt planned to create separate cooperative structures for certain areas of the world that would be liberated from German, Italian, or Japanese rule. Unfortunately, Korea was one such place. Roosevelt was keenly aware that in recent decades the powers surrounding Korea had fought over control of the peninsula – the Sino-Japanese War of 1884-85 and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05. The president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defeat of Japan would lead to a new conflict over Korea, this time between China and the Soviet Union. To avoid such an outcome, Roosevelt proposed to Soviet leader Joseph Stalin that they establish an international trusteeship, together with the Chinese and the British, that would enable the wartime allies to cooperate in the creation of a new government for Korea.

Of course, once the war ended it quickly became clear that there would be little cooperation between the Soviets, on the one hand, and the British, Americans, and Chinese Nationalists on the other. Moreover, the idea of trusteeship ignored the will of Koreans, who naturally assumed that they would themselves establish a new government for their country. Roosevelt underestimated the inherent conflict between the Communist and Capitalist allies and grossly ignored the wishes and capabilities of Koreans. The trusteeship idea created the foundation for the division of Korea, a process we will turn to next, and is therefore justly condemned as a tragic example of great power chauvinism and hubris.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the plan to create a trusteeship for Korea arose from Roosevelt’s desire to avoid a third world war, not from an intention to establish American control over the southern half of the peninsula.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Korean War History) post # 1, The Division of Korea, 1945-1948’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