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스톤의 느끼는 산사이야기) 통도사 중로전에 들어서면서, 과유불급

통도사 하로전에서는 매우 정리가 잘 되어 있는 느낌을 받았다. 중로전에 들어가는 입구가 불이문이다. 불이문이 현판을 송나라 사람이 썼다고 한다. 당시에 무슨 연유로 송나라 사람이 양산까지 내려와서 통도사를 찾았는지 알 수는 없는 일이다라고 생각하면서 중로전에 들어섰다. 중로전에 들어서자마자 무엇인가 산만하고 정리가 되지 않은 듯한 느낌을 받게 되었다. 관음전과 용화전 그리고 대광명전이 각각 나란히 앞을 보고 서 있었다. 관세음보살과 미를보살 그리고 비로자나불이 서로 앞을 보면서 일열로 서 있는 경우는 별로 본적이 없었던 것 같다. 별로 앞뒤 거리를 두지도 않고 상당한 의미가 있는 전각들이 조밀하게 붙어 있었다.

관음전과 용화전 그리고 대광명전의 바로 윗쪽으로 통도사를 세운 지장율사를 기념하는 문과 건물이 서 있었다. 지장율사를 기념하는 건물들이 대웅전 바로 밑에 서 있는 것이 뭔가 이상하기도 했다. 솟을문 형식의 문은 고색창연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었다. 보통의 민간주택의 문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아마도 지장율사를 모시고 있는 해장보각에 들어가기 위한 문으로 만든 듯 하다. 민간가옥의 문과 같은 모습으로 만든 것은 불교식으로 문을 만들면 건방지게 보일까봐 그런 듯했다.

_7150417.JPG

해장보각의 위치가 너무 지나친 듯 했다. 어찌해서 해장보각을 대웅전과 세개의 전각사이에 세웠는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해장보각의 위치가 너무 위에 있어서 나로 하여금 지장율사에 대한 대접이 지나쳤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물론 민간가옥의 문 형식을 따긴 했지만 개산조당이란 이름을 붙인 솟을 대문을 보면서 제자들이 지장을 부처처럼 만들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했다. 특히 개산조당은 불이문을 통과해서 서 있는 문이다. 불이문 안이면 이미 극락인데 극락안에 또 대문을 만들다니 이게 무슨 일이람 하는 생각을 하면서 보았다. 뭐 멋있는 것은 나에게 두번째 문제였다.

중로전에서 나를 더 혼란스럽게 만든 것은 개산조당과 해장보각과 함께 5층 석탑이었다. 중로전 한가운데 5층 석탑이 서 있었는데 그 위치가 이상했다. 개산조당과 해장보각 그리고 일자로 앞뒤 나란하게 서 있던 관음전과 용화전 그리고 대광명전 사이에 서 있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서 있는 것 같지도 않았다.

그 어중간한 위치가 나의 방향감각을 상실하게 만들었다. 나를 산만하게 만들었다. 전각들이 눈안에 제대로 들어오지 않았다. 고려시대 전형적인 석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석탑을 제대로 감상하지 못했던 것은 중로전에서 느낀 불안감 때문인지도 모른다.

_7150458.JPG

중로전을 어떤 연유로 이렇게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전체적인 전각과 건물의 구성이 너무 조밀하고 답답했으며 여유가 없었다. 그리고 지장율사를 모신 건물의 격이 전각보다 더 높은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하로전에서 단순하면서도 화려한 전각들과 탑의 구성이 집중력과 긴장감을 느끼게 했다면, 중로전은 무엇인지 모르게 나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그냥 아쉬움을 느끼며 탑을 바라 보았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올드스톤의 느끼는 산사이야기) 통도사 중로전에 들어서면서, 과유불급’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