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배당금을 과소평가하지 마시라

“주식시장이 펀더멘털과 동떨어져 있다.”라는 말은 투자 업계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이다(최근에도 이런 말을 많아졌다).​

“우리는 현재 주식시장이 고평가되어 있다고 믿는다.” 역시 즐겨 하는 말이다.​

그리고 “주식시장이 적정 가치로 거래되고 있다.”라는 말도 있다.​

사람들이 말하는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은 여러 맥락에서 읽어야 하고, 항상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다양한 방법,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해왔는지, 당시 주식시장의 구성, 시간이 지나면서 기업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측정에 사용한 지표(순이익, 매출, 현금 흐름, 장부 가치 등), 측정 방법, 금리, 물가 상승률, 경제체제 및 그밖에 다른 많은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펀더멘탈은 보기보다 복잡하다.​

가장 단순하지만 가장 간과되고 있는 주식시장의 펀더멘털 중 하나가 배당 수익률이다. 배당금은 기업이 투자자의 계좌에 넣어주는 실제 현금 흐름이다.​

어떤 똑똑한 공인 회계사를 고용하더라도 배당금을 조작할 수는 없다.​

배당금은 또한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이 보여주는 가장 탄력적인 특성 중 하나다.​

1920~2019년 기간 동안,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배당금 추이는 다음과 같다.

image.png

때로는 굴곡진 시절도 있었지만, 지난 100년 동안 물가 상승률을 제하고도 배당금의 실질 성장률은 연간 2.1%로 아주 인상적이다.​

별것 아닌 것처럼 들리지만, 이 기간 동안의 물가 상승률은 연간 3%였다. 따라서 명목 배당금만 놓고 보면, 1920년 이후 매년 약 5%의 비율로 배당금이 성장해 온 것이다.​

그럼에도 배당금은 주식 투자에서 과소평가된 요인 중 하나다. 장기적으로 물가보다 더 높은 비율로 성장하는 다른 형태의 소득이 있을까?​

물론 배당 성장이 항상 일직선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배당금이라고 경기 침체에 면역성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디즈니는 회사가 돈을 절약하기 위해 배당금을 삭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디즈니뿐만이 아니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현재 주식시장은 올해 15%의 헤어컷을 예상해 주가에 반영하고 있다고 한다(모건스탠리는 실제 수치가 이보다 더 나을 것으로 생각한다).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경기 침체가 시작되었을 때 가정했던 것보다, 배당금은 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주식시장이 35%의 급락을 겪었고, 앞으로 몇 분기 동안 기업의 순이익이 크게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 나쁜 편은 아니다.​

다음 차트는 100년 동안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 S&P 500의 배당금 감소가 어떠했는지 보여준다.

image.png

실질 기준으로, 지난 100년 동안 주식시장이 절반으로 폭락했던 경우가 5차례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배당금이 50% 이상 감소한 적은 없었다.​

아래 차트를 통해 이 기간 동안 S&P 500 주가 하락 수준과 배당금 감소 수준을 비교해 보면 양자 간의 이러한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image.png

주식시장이 실질 기준으로 80% 이상 급락했을 경우에도 배당금은 47%가량 감소하는데 그쳤다. 그리고 그 이후 배당금이 주가보다 훨씬 빨리 반등했다.​

주식시장이 50% 이상 하락을 경험한 1973년부터 1974년까지의 고약한 약세장에서도 배당금은 20% 조금 넘게 감소했을 뿐이다.​

2000~2002년 주식시장이 절반으로 하락했을 때도 실제 배당금은 12% 감소하는 데 그친 반면, 금융위기 동안 주가가 50%를 훨씬 넘게 하락했을 때도 배당금은 25% 감소했다.​

현재 S&P 500의 배당 수익률은 2% 수준이다.

image.png

다음 사실을 알고 나면 얼마나 근사한 수치인지 깨닫게 된다.​

◾ 장기적으로 배당금은 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게 성장한다.

◾ 현재 3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1.4%에 불과하다.

◾기업이 지급하는 배당금은 해당 기업의 주가보다 훨씬 변동성이 작다.​

마지막 항목 때문에 시장 밸류에이션을 시장 타이밍 지표로 사용하기 어려운 또 다른 이유다. 주가는 펀더멘털보다 오버슈팅 되는 경향이 있다. 약세장에서 배당금보다 주가가 더 크게 하락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주식시장 또는 고배당주 자체가 채권의 대체재가 될 수는 없다. 지금처럼 금리가 낮다고 해도 주식(배당주도 마찬가지)과 채권의 위험/보상 프로파일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주식시장이 지급하는 배당금이 장기적으로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과소평가한다.​

주식은 그 어떤 자산보다 더 나은 현금 소득의 원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초저금리 상황에서 그 현금 소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할 수 있다.​

자료 출처: A Wealth of Common Sense, “The Best Source of Investment Income?”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절대 배당금을 과소평가하지 마시라’

# ko, kr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