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수익 악화와 주식 시장 성과 사이의 관계는?

미국 경제계는 기업 수익 악화라는 한 여름 공포 영화가 상영되고 있다.​

기업 수익 악화(earnins resession)란 기업들의 주당 순이익이 2분기 연속 감소하는 상황을 말한다. 이러한 수익 감소는 2019년 2분기에 벌어졌고, 다음 3분기에도 예상되고 있다.​

사실, 과거 주식 시장은 기업 수익은 증가할 때보다 하락할 때 더 좋은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는 점에서 기업 수익 악화에 대한 공포는 지나친 감이 없지 않다.​

그 이유는 기업 수익 악화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업 수익이 완전히 굴러떨어지지 않는 한, 투자자들은 기업 수익 성장률이 둔화되는 것도 싫어하지만, 그보다 저금리 상황을 더 반긴다.​

지난 몇 분기는 교과서 같은 상황이었다. 기업 수익이 급증한 2018년 4분기 동안, S&P 500은 오히려 14.0% 급락했다. 반면 전년 동기 대비 주당 순이익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올해 1분기의 경우, S&P 500은 13.1% 상승했다. 팩트셋에서 주당 순이익의 성장률을 (-) 2.6%로 예상했던 2분기 역시 S&P 500은 추가로 3.8% 상승했다.​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몇 분기의 상황은 이례적인 것이 아니다. 1927년 이래로 S&P 500 소속 기업들의 전년 동기 대비 주당 순이익 성장률이 10% ~ 25% 낮아졌던 분기에 주식 시장이 최고의 성과를 기록했다. 그 기간 동안 S&P 500는 연평균으로 25.0%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주당 순이익 성장률이 20% 이상이었던 분기에서 S&P 500은 연평균으로 단 2.6% 상승하는데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주당 순이익 성장률이 상당한 마이너스(-)(- 25 % 이상)였던 경우에만, 주식 시장은 평균적으로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그밖에, 아래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주당 순이익 성장률과 S&P 500 성과 사이에는 일관되게 역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같은 결과는 조금도 과장하지 않고 직관에 반한다. 하지만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결과를 받아들이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으로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낸 다른 연구를 살펴보자. 이 연구는 1년 전 금융 서비스 회사 “INTL FCStone”의 글로벌 매크로 전략 책임자 빈센트 델루아드(Vincent Deluard)가 진행했다.​

델루아드는 다음 같은 사고 실험을 진행했다. “분기 GDP 성장률을 미리 알고 있다면 주식 시장에서 얼마나 돈을 벌 수 있었을까?”하는 문제를 살펴봤다. 분기가 끝나기까지는 GDP 성장률을 미리 알 수는 없는 노릇이고, 최종 수치가 발표되기까지는 분기가 끝나고 상당 기간이 흘러야 하기 때문에, 델루아드의 사고 실험에는 상당한 예지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GDP 성장률을 미리 알고 있었다 해도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델루아드는 다음 분기 GDP 성장률이 직전 분기 보다 높았을 때 주식에 완전히 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 100% 현금으로 가져가는 전략을 백테스팅했다. 1948년부터 2018년 초까지 이 포트폴리오의 연평균 수익률은 매수 후 보유 포트폴리오보다 1.0% 낮았다.​

결론적으로, 향후 몇 주일 또는 몇 달 후 실망스러운 기업 수익이 발표되더라도, 주식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단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료 출처: Market Watch, “This is one recession where stocks can actually make you money”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기업 수익 악화와 주식 시장 성과 사이의 관계는?’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