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타이밍 무용론


104.jpg

#
시장 타이밍을 잡는다는 게 가능할까? 가능하다면 얼마나 더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을까? 사실 시장 타이밍을 잘 잡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치고, 이미 일어난 과거의 사례를 기준으로 사후 확증 편향에 빠지지 않은 경우가 없고, 향후 그런 기술이 없었음이 드러나고 만다.

​과거 2010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에서 독일의 7경기 승패를 모두 맞히고 결승전 예상까지 적중시킨 ‘족집게 점쟁이 문어’ 파울이 있었다. 파울이 예측 능력이 있어서 그랬던 걸까? 아니다.

​파울은 그저 동전 던지기를 했을 뿐이고, 운이 좋아 8번 연속으로 성공을 거뒀던 것이다. 그럴 확률은 256분의 1 이었다. 정말 인상적인 결과 인건 맞다. 하지만 바닷속에는 파울 같은 문어가 20억 마리가 헤엄치고 있고, 비슷하게 다리가 8개인 연체동물도 수없이 많다.

​여기서 다른 렌즈를 통해 시장 타이밍이 중요한지 그렇지 않은지 살펴보자.

​1989년 기준으로 25살인 메리가 있다고 하자. 메리는 30년 동안 매년 1,000달러를 S&P 500에 투자한다. 그리고 30년 동안 매년 가장 좋은 날을 골라 1,000달러를 투자한다. 30년 연속으로 가장 좋은 날을 고를 확률은 (1/253)^30, 즉, 1,240 다음으로 0이 69개나 붙는 숫자 분의 1이다.

​하지만 메리는 이런 어마어마한 일을 해냈다고 하자.

​이제 메리가 55살이 되었다. 25살부터 30년 동안 매년 한 해 중 주가가 가장 낮았던 하루를 골라 1,000달러를 투자한 결과, 계좌의 총액은 155,769달러가 되었을 것이다.


#
투자 총액 3만 달러로 정말 훌륭한 결과를 만들어냈다.

​이제, 나이가 같은 찰스가 있다고 하자. 찰스는 자본 시장 역사상 시장 타이밍에 가장 서투른 청년이다. 찰스 역시 25살부터 30년 동안 매년 1,000달러를 투자했지만, 운이 나빠서인지 실력이 없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찰스가 투자한 날은 한 해 중 주가가 가장 높은 날이었다.

​이렇게 시장 타이밍을 잡지 못해서야, 투자 총액 3만 달러에서 손실을 보지 않았을까?

​30년 동안 매년 가장 최악의 날에 1,000달러를 투자했던 찰스의 계좌는 최종적으로 122,000달러를 찍었을 것이다.


#
이렇게 찰스가 완벽하게 잘못된 선택을 했지만, 그랬으면서도 메리의 80%에 상당하는 성과를 올렸다.

따라서 투자하기 완벽한 날을 고를 수 있다고 해도, 돌아오는 보상은 그리 크지 않다.

그리고 단지 최근의 현상만이 아니다.

1998년까지 30년의 경우에도 그랬다.


#

1988년까지 30년의 경우에도 그랬다.


#

1978년까지 30년의 경우에도 그랬다.


#

1968년까지 30년의 경우에도 그랬다.


#

각각의 기간 동안, 완벽한 선견지명을 가진 사람과 선견지명에 완벽한 백치 사이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물론 다른 30년 기간들 중에서 더 좋거나 나쁜 기간이 있을 수 있다. 시장 타이밍은 단지 동전 던지기의 행운일 뿐이며, 앞으로 30년 동안 어떻게 될지 모른다. 어쩌면 30년 동안 매년 주가가 가장 높았던 날에 투자하고도, 매년 가장 낮았던 날에 투자한 것보다 더 나은 수익률을 올렸을 기간이 있을 수도 있다.


#
그러니 투자에서 약삭빠르게 굴려고 하지 않아도 된다. 자신이 평균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해도, 평균보다 더 많이 얻지는 못할 것이다. 투자하기 가장 좋은 시점을 잡으려는 노력을 이제 그만해도 된다. 묵묵히 투자하고, 다시 일하면 된다.

​자료 출처: Albert Bridge Capital, “THE FUTILITY OF MARKET TIMI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시장 타이밍 무용론’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