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더 강한 배당 귀족주

현금 소득 추구형 투자자라면 항상 배당금 지급 수준과 배당금 지급의 안전성 사이에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최근 코로나19에 대응한 각국 정부의 조치로 세계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배당금 지급 중단하거나 축소하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이 타협점의 중요성이 입소문을 타고 있다.

2005년 출시된 S&P 고배당 귀족주 지수(S&P High Yield Dividend Aristocrats Index)는 S&P 종합 1500 지수 중 20년 이상 매년 배당금을 증액해 온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식시장은 배당금을 일관되게 지급해 온 기업에게 보상을 해준다. 아래 차트 1은 고배당 귀족주들이 장기적으로 S&P 1500보다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mage.png

2020년 초 기준, 이들 고배당 귀족주들의 총 시가총액이 S&P 종합 1500 지수에서 18%를 차지하고 있다. 비교를 위해, S&P 종합 1500 지수에서 배당 수익률이 높은 고배당주를 선별했다. 차트 2는 이 두 포트폴리오에서 시가총액 중간 기업의 각종 펀더멘탈을 비교해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 것이다.​

고배당 귀족주들이 전반적으로 더 강하게 보인다. 예를 들어:

◾ 지난해 고배당 귀족주들의 순이익은 지급한 배당금의 2배였던 반면, 고배당주의 순이익은 지급한 배당금의 1.2배에 불과했다. 지난해 지급한 배당금 대비 보유 중인 현금의 배수 역시 고배당 귀족주들이 더 높았다.​

◾ 주주들에게 현금을 환원하는 또 다른 방식인 자사주 매입 규모 역시 고배당 귀족주들이 고배당주보다 훨씬 더 많았다. 배당금 삭감보다 자사주 매입이 먼저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만큼의 자금이 고배당 귀족주들에게 쿠션이 될 것이다.​

◾ 고배당주보다 고배당 귀족주들의 규모가 더 크고(중간 기업 시가총액 120억 달러), 수익성도 더 높다(중간 기업의 ROE 15.5%).

image.png

분면,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는 어떤 보장도 할 수 없다. 만일 사업에 상당한 차질이 생긴다면, 1년 전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가 얼마나 강력했는지와 상관없이, 배당금 축소가 가능하다. 하지만 위 분석이 말해주듯이, 배당금을 일관되게 증액해 온 기업들이 역풍으로부터 더 잘 보호된다는 것이다.​

자료 출처: S&P Dow Jones Indices, “Durability During Distress”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위기에 더 강한 배당 귀족주’

# kr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