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세계에는 12억 명이 전기 없이 살고 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에게는 전기의 고마움을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현재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전기가 공급되고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제 세계 인구 중 16%(약 12억 명)는 아직 전기 없이 살고 있다. 전기 공급 부족 또는 “에너지 빈곤”은 사람들을 현대 경제에 참여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궁극적인 경제적 장애물이다.

여전히 ​​어둠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까?

현재 대다수의 국가에 전기가 100% 공급되고 있고, 95% 이상인 국가는 더 많다. 여기에는 인구 대국인 중국, 브라질 및 미국도 포함된다.

또 하나의 인구 대국 인도는 이 수준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10년이라는 짧은 기간 안에 전기 공급률을 70%에서 93%로 빠르게 끌어올렸다.

한편 북한은 동아시아에서 분명한 ‘아웃라이어’다. 북한의 전기 공급 부족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인공위성 사진으로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휴전선을 경계로 어두운 북한의 밤하늘과 빛나는 한국의 도시 지역이 맞닿아있는 모습이 분명하게 보인다.

https://www.youtube.com/watch?v=beQOyXlO0bc

북한 주민의 절반 이상이 에너지 빈곤에 처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995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인구 중 20%만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오늘날 수치는 40% 이상으로 나아졌지만, 여전히 약 6억 명의 주민은 전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살고 있다.

그에 따라 당연히 에너지 빈곤은 시골 아프리카 주민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기 공급률이 가장 낮은 거의 모든 국가에는 농촌 인구가 훨씬 더 많다.




있지도 않으며, 있어도 믿을 수 없는 전기는 시골 아프리카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아프리카 최대 경제국인 나이지리아조차 전기 공급률이 54%에 불과하다.

전력망이 있는 곳에도 불안정성이 또 다른 문제다. 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기술 기업 대다수가 한 달에 30차례 이상 정전을 겪고 있으며, 절반 이상이 전기를 사업의 “중요한” 또는 “심각한” 제약 요인으로 평가했다.

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 반복되고 있는 패턴이다.

소규모 전력망부터

과거 국가의 전기 공급률을 20%에서 80%로 끌어올리는 데 평균 25년이 걸렸다는 점에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세계 다른 지역만큼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베트남의 경우 단 9년 만에 그 격차를 좁힐 수 있었다.

전통적인 전력 회사들이 계속 아프리카에 진출하고 있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시골 마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전력망이 효과적일 수 있다.

2009년에서 2015년 사이, 태양광 모듈 가격이 80% 하락해, 새로운 경제성 시대를 열었다. 소규모 태양광 전력망으로 새로운 시장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유 발전기를 대체할 수도 있다.

아직까지도 현대적인 생활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6억 명에게 이런 혁신이 절실한 상태다.

자료 출처: Visual Capitalist, “Mapped: The 1.2 Billion People Without Access to Electricity”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아직 세계에는 12억 명이 전기 없이 살고 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