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타임스의 기사 “The difference between rationality and intelligence”를 번역한 글입니다.
여러분은 지능이 높습니까? 아니면 합리적입니까? 이런 물음이 쓸데없이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연구진들이 이 두 인지적 특성이 실제로 얼마나 다른 가를 보여줘 왔다.
이 같은 연구는 1970년대 초반 시작되었다. 심리학자 다니엘 카네만과 아모스 트버스키는 일련의 실험을 진행한 후, 우리 모두, 심지어 아주 지능이 높은 사람이라도 비합리적이 되기 쉽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그 실험은 광범위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이성이 아니라 직관에 의거에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음을 밝혔다.
카네만과 트버스키 교수는 연구에서 참여자들로 하여금 린다라는 여성을 묘사한 글을 읽도록 하였다. “31세로 독신 여성인 린다는 솔직하며, 아주 명민했다. 그녀는 철학을 전공했다. 그녀는 학창시절 차별과 사회 정의에 관련된 문제에 깊이 천착했으며, 반핵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어 참여자들에게 다음 A와 B 중 어느 것이 더 개연성이 높은 지 물었다.
A) 린다는 은행 직원이다.
B) 린다는 은행 직원이며, 페미니스트 운동에 열성적이다.
참여자들 중 85%가 B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논리적으로 말하면, A가 더 개연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한다. (왜냐면, 은행 직원 중 페미니스트가 아닌 직원이 있을 수 있지만, 모든 페미니스트 은행 직원은 은행 직원에 속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위와 같은 린다 문제에서 결합 오류(conjunction fallacy)에 빠지게 된다. 결합 오류란 두 사건 중 어느 하나가 일어나는 것보다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믿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다른 경우를 들자면, 우리는 어떤 사건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 지에 관한 정보를 무시한다.
우리는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계산에 넣지 않는다. 우리가 증거를 평가하는 방식은 이전에 확립된 생각에 근거하게 된다. 등등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비합리적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1990년대 말부터 시작해 연구자들은 이러한 시각을 상당 부분 바꿔놓기 시작했다. 아주 합리적인 사람도 일부 있다는 카네만과 트버스키의 연구 결과도 있지만, 심리학자 키스 스타노비치(Keith Stanovich)와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렇다. 즉, 우리 모두는 합리적이 되는데 인지적 문제점이 있긴 하지만, 합리성의 수준에는 개인차가 존재한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보다 합리적인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답을 추측해 보자면, 보다 지능이 높은 사람이 그런가?
틀렸다. 스타노비치와 연구진은 대규모(통상 수 백 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I.Q. 테스트와 린다 문제를 포함해 가능한 최대의 판단력 테스트를 진행했다. 여기서 찾아낸 주요한 결과는 비합리성(이를 스타노비치 교수는 “dysrationalia”(지식이 충분히 있는데도 특정 상황에서 비합리적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경향)이라고 부른다.)이 I.Q.와는 상대적으로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I.Q.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dysrationalia를 겪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 스타노비치 교수와 연구진은 2008년 연구에서 린다 문제로 참여자들을 테스트한 결과 I.Q.가 높은 이들이 결합 오류에 빠지는 경향이 더 높음을 발견했다.
스타노비치 교수와 연구진은 이 증거를 기반으로 합리성 지수(rationality quotient; R.Q.)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I.Q. 테스트가 가공되지 않은 지적 능력(추상적인 이성과 언어 구사 능력) 같은 뭔가를 측정하는 것이라면, R.Q. 테스트는 반향적 사고(reflective thought)(자기 스스로의 생각에서 한 발 물러서 이 생각이 불완전한 경향을 바로잡는 것) 성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합리성은 지능과는 다르게 트레이닝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나와 있다. 지난해 저널(Policy Insights From th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에 실린 두 연구에서 심리학자 케리 모어웨지(Carey Morewedge)와 연구진은 참여자(각각 200명 이상)를 대상으로 다양한 의사 결정 편향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참여자 중 일부에게는 의사 결정 편향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했으며, 다른 이들에게는 실생활의 의사 결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의사 결정 편향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된 인터랙티브 컴퓨터 게임을 하도록 했다.
인터랙티브 게임에서는 각 시뮬레이션 이후, 참여자들에게 특정 의사 결정 편향에 대한 소개와 게임 결과에 대한 개별 분석을 보도록 했다. 동영상을 시청한 직후, 또는 컴퓨터 트레이닝을 받은 직후, 그리고 2개월 후, 참여자들에게 두 가지 다른 의사 결정 테스트를 받게 했다.
모어웨지 교수와 연구진은 컴퓨터 트레이닝을 통해 의사 결정 시의 편향을 통계적으로 크고 지속성 있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밝혀냈다. 즉, 컴퓨터 트레이닝을 수행한 후 2개월이나 지난 후에까지도 참여자들의 의사 결정 편향이 상당히 줄어들었다는 말이다. 이런 편향 감소 수준은 동영상 트레이닝을 받은 참여자들 보다 컴퓨터 트레이닝을 받은 참여자들 사이에서 더 컸다(동영상 트레이닝을 받은 참여자들의 편향성 감소 수준도 크긴 했지만).
어떤 종류의 “두뇌 트레이닝”이 지능에 어떤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아마도 틀림없이 사람들을 의사 결정에서 더 합리적이 되도록 트레이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가 모든 이들이 완전히 합리적인 세상에서 영원히 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하지만,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우리들 가운데 가장 합리적인 사람을 골라낼 수 있는 테스트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비합리성을 줄여줄 수 있는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나머지에게 제공함으로써, 그런 방향으로 사회를 조금씩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지능과 합리성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