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음식 문화의 12가지 변화 - 서론 (1)

서론

#
수십 년 동안 경제학자들은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세계 나머지 나라들은 감기에 걸린다는 말을 즐겨 했다. 이제 다른 나라들에게 손수건을 찾게 만드는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중국이다. 중국은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 강국으로 탈바꿈했고, 그 과정에서 수백만의 사람들을 빈곤에서 벗어났다. 실제, 이 나라의 발전은 충격적이었다. 예를 들어, 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중국은 2003년부터 세계 최대 무역국으로 미국을 넘어섰던 2013년 사이 세계 경제 성장에서 24%를 차지했다.

image.png
(중국은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 강국으로 탈바꿈했고, 그 과정에서 수백만의 사람들을 빈곤에서 벗어났다.)

​분명 중국의 경제 성장은 여러 가지 결과를 낳았다. 특히 세계 식료품 체계에는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 인구는 약 14억으로 지구상 인구의 20%인데 반해, 경작지 비중은 7%에 불과하다는 점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이 국내 식료품 산업을 빠르게 현대화하고,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또한 국경을 넘어 해외에서 더 많은 식료품을 수입하고 있다. 2016년 중국은 196억 달러 상당의 식료품을 수입해, 1999년 13억 달러에 비해 엄청나게 늘었다. 이미 세계 10대 항구 중 광저우를 비롯한 7개가 중국에 있으며, “일대일로” 계획을 통해 무역로를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다. 이 계획은 중국 주도 하에 유럽, 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육상 및 해상 무역로 개발에 투자하려는 전략이다.

​세계 2위의 경제가 어떻게 14억에 달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는데 따른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두를 살펴보면 된다. 대두는 간장과 두부를 비롯해 여러 가지 중국요리의 핵심 재료다. 또한 대두에서 기름을 짜내고 남은 대두박은 단백질이 풍부해 동물 사료에 들어간다. 그리고 중국의 육류 수요 증가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두 수입이 급증했다.

​실제, 중국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는 대두 중 60%를 수입하고 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문제다. 중국은 미국과 무역 분쟁을 벌이면서, 주요 공급처인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하고 있다. 이는 미국 농가의 생계를 위협할 뿐만 아니라, 2019년 중국에서 대두가 고갈될 것이라는 우려를 부채질하고 있다.

image.png
(세계 10대 항구 중 광저우를 비롯한 7개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 1999년 13억 달러에서 2016년 196억 달러 상당의 식료품을 수입했다.)

​중국의 식료품 소비가 국경을 넘어 해외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중국, 특히 대도시(유엔에서는 1천만 이상이 거주하는 도시를 대도시로 정의한다)에서 불고 있는 음식 문화의 변화를 탐구해 볼 필요하 있다. 이 보고서는 YEAST와 이케아의 미래 생활 연구소 SPACE10 간의 협력으로 중국 내 대도시에서 일어나고 있는 12가지 흥미로운 음식 문화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image.png
(중국은 전 세계에서 거래되는 대두 중 60%를 수입하고 있으며, 대부분 간장, 두부 및 동물 사료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중국의 경제 성장은 정치적, 경제적 발전을 촉발시켰고, 이는 다시 이러한 12가지 변화를 일으켰다. 가장 중요한 발전은 중국의 빠른 도시화다. 지난 35년 동안, 거의 5억 명이 시골에서 도시 지역으로 이주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대도시들을 비롯해 수백 개의 새로운 도시가 만들어졌다.

​오늘날, 중국에는 6개의 대도시와 인구가 1백만 이상인 도시도 124개가 된다. 2030년이 되면, 중국에는 대도시는 8개, 도시는 173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주강 삼각주(선전, 광저우, 홍콩 및 마카오) 및 양쯔강 삼각주(상하이, 항저우, 쑤저우 및 쑤저우) 같은 거대도시권 19곳을 만들기 위한 대규모 개발 계획이 진행 중에 있다.

​중국의 경제력 상승의 또 다른 결과는 급속한 디지털화다. 중국인들의 주머니가 두둑해지면서(2022년이 되면, 도시 인구 중 75%가 중산층에 해당할 것이며, 연 소득은 9천 달러 내지 3만 4천 달러에 이를 것이다), 신기술을 받아들이는데 적극적이 되고 있다.

​(그리고 PC와 신용카드 같은 구식 기술은 그냥 건너뛰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중국인들은 대부분 스마트폰을 통해 온라인에 접속하고 있다. 2018년 6월 기준, 인구 중 98.3%가 모바일 기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 34.5%만이 랩톱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다.

image.png
(2018년 중국 인터넷 네트워크 정보 센터 보고서)

​게다가, 중국에서는 거의 누구나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있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40%가 현금을 평균 100위안(약 16,600원) 미만으로 가지고 다닌다고 답했고, 74%가 이 정도 현금이면 거의 한 달을 아무 문제없이 지낼 수 있다고 답했다.

​또한 중국에 광범위한 퍼진 소셜 네트워킹, 라이브 스트리밍 및 사용자 제작 콘텐츠들이 세계 최대 전자 상거래 시장을 만들었고, 2017년 매출이 1조 달러를 돌파했다. 중국의 높은 도시 인구 밀도는 모바일 기술을 통한 음식 배달 업체들에게도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현재 중국의 음식 배달 시장은 미국 시장의 거의 두 배인 330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image.png
(중국은 2016년 196억 달러 상당의 식료품을 수입해, 1999년 13억 달러 대비 엄청난 증가세를 보였다.)

​중국의 경제 성장은 사람들의 먹는 방식을 바꿔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먹는 음식 역시 바꿔놓고 있다. 신흥 중산층들은 점점 더 서구식 식사를 즐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육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유엔 식량 농업 기구에 따르면, 중국의 1인당 육류 소비량은 1990년 이후 130% 증가했다고 한다. 2016년 가디언지는 “많은 중국인들에게 육류는 어쩌다 한 번 먹는 음식에서 일반적으로 먹는 주식이 되었다.”라고 보도한 바 있다.

​1982년 중국인은 1년에 평균 13kg의 육류를 소비했고, 부족한 쇠고기는 부’백만장자 고기’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제 더 이상 그렇지 않다. 현재 중국인들은 1년에 평균 63kg의 육류를 소비하고 있다. 심지어 중국 보건부가 국민들에게 육류 섭취를 50% 줄이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중국의 육류 수요가 기후 변화를 억제하려는 노력에 방해가 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의 신흥 중산층들은 점점 더 서구식 식사를 즐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육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현재 세계 3위 쇠고기 생산국이며, 2위 가금류 생산국이고, 세계 1위 돼지고기 생산국이다. 실제 지난 반세기 동안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량은 1961년 150만 톤에서 2014년 5,400만 톤으로 35배 가까이 증가했다. 세계 시장에서 돼지고기 가격을 유지 및 보호하기 위한 노력으로 ‘돼지고기 보유고’를 만들어낼 정도로 중국의 돼지고기 수요 규모는 엄청나다. 또한 중국의 돼지고기 수요는 미국의 세계 최대의 돼지고기 생산업체를 인수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image.png
(2012년 10월 UN 환경 프로그램, “육류 생산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간단히 말해서, 경제 성장, 도시화 및 디지털화 이 세 가지 거시 경제적 발전이 중국 음식 문화를 영원히 변화시키고 있다. 가난에서 벗어나 중산층 대열에 합류하는 인구가 점점 더 많아지면서,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가 점점 더 많아졌고, 디지털화되고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인구가 점점 더 많아으며, 이로 인해 중국인들의 식사 방법, 종류 및 장소를 영원히 바꿔놓을 것이다.

(1부 새로운 일상이 된 음식 배달 문화에서 계속)….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중국 음식 문화의 12가지 변화 - 서론 (1)’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