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채화 그려드리는 @raah 입니다. ^^
커피감별사(커퍼·cupper)가 되기 위해서는 큐그레이더(품질 감별) 자격증이 필요한데 우리나라에 200명이라는 기사도 있고 세계 천명 정도 뿐이라고 자랑을 하심
제가 커퍼는 아니고 내용은 커퍼의 강의내용이고 저는 커피 맛만 봅니다.
오늘 포스팅의 내용
1, 커피의 맛 / 2. 로스팅과 드립 / 3.커피종류 / 4. 영동고속도로 커피숍 소개
1. 쓴 커피는 버려라! 몸에 나쁘다.
태운 고기 안 먹듯 태운 커피도 나쁘다.
좋은 커피는 암을 치유하고 나쁜 커피는 암을 유발한다.
달고 신 커피?
일반적으로 볶음 정도에 따라 맛과 향미의 변화를 9단계로 세분화한다. 로스팅의 온도, 시간, 속도 등에 따라 커피맛이 달라지는데, 보통 시나몬 로스팅(CinamonRoasting)까지는 신맛이 강하다. 좀 더 로스팅이 진행되면 캐러멜화가 진행되면서 생두는 짙은 갈색을 띠게 된다.
미디엄 이상 로스팅을 하면 쓴 맛이 올라오고 그 이상 로스팅을 할 경우에는 탄맛, 탄향이 난다.
커피가 탄맛이 나는 이유
1. NO 핸드픽, 생두의 결점 두를 별로 골라내지 않는다.
로스팅전 결점 두를 골라 균일한 원두로 로스팅을 해야 좋은 맛의 커피를 추출 할 수 있다.
요런 커피만 남겨야해요..
곰팡이슬거나 깨진 ,작은, 미숙성된 생두, 발효된 생두, 벌레먹은 생두
사진에 보이는 생두들은 모두 버려야 할 것들…
- 심지어 커퍼님은 겉보기는 멀쩡한 최상급 생두도 작은 점(벌래구멍)을 찾아내어 버리더라고요
그런 것 한 두개 들어가면 로스팅과정에서 먼저 타 버려서 쓴맛이 난다고요.
일반거대 체인커피점들 이런 과정을 거치기 힘들죠..커피도 아라비카 몇%에 로부스터를 섞기도하고
2. 저급 커피들은 적당한 로스팅을 할 수 없다.
썩은맛 풀맛, 상한 맛이 다 드러나거든요 그런 것을 다 감출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태우는 것. (강배전) 그리고 말합니다. ‘쓴 커피’ 한잔 하라고
- 강배전 커피로 맛 내는 것은 거의 예술수준이 아닐까 싶어여. 전 안먹어요!!
로스팅된 커피색이 검을수록 의심의 눈초리로..ㅎㅎㅎ
2. 로스팅과 드립
집에서 수망 로스팅?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서 볶으면 콩의 내무가 물리,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기 전에 외부가 먼저 타버리게 되기 때문에 불 조절이 중요하다
로스팅은 잘하는 까페나 인터넷 판매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것으로… ^^
- 저는 세일 카페를 이용해요 로스팅이 여일하고 자주이용하면 할인! 예가체프 1KG 2만냥수준
빈**은 맛이 들쑥날쑥
나머지는 비싸고…
로스팅의 진행 정도를 일반적으로 1차와 2차 크랙으로 구분하는데 커피 조직의 내부 온도가 150℃가 되면 커피콩의 중심부 팽창되며 1차 팽창 음을, 190℃가 되면 조직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며 200℃에 이르면 향기 성분 생성과 갈변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커피콩이 건열 분해되면서 열을 발산하여 조직이 2차로 팽창하게 된다.
● 저는 2차크랙 까지 가면 항상 탄 맛이 나더라고요 그래서 역시 로스팅은 안하는 거로
커피 내리기
적당히 로스팅 된 원두를 냉각시킨다
잔열로 인해 커피콩의 반응이 더는 일어나지 않도록 내부온도를
빨리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커피 추출 (CoffeeBrewing)
대표적인 것이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Machine)과 핸드 드립(HandDrip)이다. 여과식의 방법 중 가압 추출(UnderPressure)방식을 사용하는 에스프레소 머신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성분까지 빠르게 추출하여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핸드 드립의 경우 에스프레소 머신보다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스트레이트 커피(StraightCoffee)의 부드럽고 깔끔한 맛을 개인의 취향별로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이다.
커피머신으로 먹은 커피중 맛있게 느낀 경험이 전무해서 핸드 드립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만. ^^
- 뜨거운 물로 데운 드립퍼(dripper)와 서버(Server), 커피잔을 준비한다.
- 종이필터의 재봉선을 따라 밑부분과 옆부분을 엇갈리게 접는다.
- 종이필터를 드립퍼에 끼우고 분쇄한 커피를 평평하게 담는다.
- 1차 추출 - 커피가 충분히 적셔질 만큼 물을 붓고 뜸 들인다. 10초(저는 5초만)
- 2차 추출 - 20~30초 후 안쪽에서부터 원을 그리며 여러번에 나누어 추출한다.
- 3분 이내로 추출하고 커피를 데워진 잔에 담는다.
Dripper
드리퍼는 보통 두종류가 있는데
전문가드은 뭐 맛이 다르다는데 전 별반 차이는 없어요
원통형이 좀 빨리 내려와요
저는 둘 다 쓰지만 중간 멈춤이 가능한 ‘자동드리퍼’를 써요….편해요
그라인더
그라인더는 핸드밀도 있고 요즘 스티미언님들이 엄청 좋은 것들도 많이 올려주시지만
저는 **밀700써요 600은 정전기 심했는데 요건 완전 업글되어 만족. 만족
분쇄도는 곱게갈수록 쓴맛을 강하게 뽑는것 같아요
드립은 좀 거칠게
저는 깨알보다 큰게 제법 보이네요
3. 커피의 종류와 맛 분류
최상급 커피를 정성스럽게 골라 로스팅했을 경우일 뿐
태우면 다~~~ 쓰다
브라질, 콜롬비아, 예가체프, 게이샤 다 맛이 다르다고 하고 실제로 다르지만 스페셜 티의 경우에만 그렇고 일반 체인점에서는 그런 맛은 맛볼수 없죠. 다 써요 그냥. ㅎㅎ
1, 아라비카
에티오피아 커피로 해발 600~2,000m의 고지대에서 주로 재배된다.
기후나 토양, 병충해에 민감하고 특히 열에 약해서 온도가 30℃ 이상으로 올라가면 불과 2~3일 내에 해를 입고 만다. 아라비카는 단맛, 신맛, 감칠맛, 그리고 향기가 뛰어나 대체로 가격이 비싼 편이다. 성장속도는 느리지만 향미가 풍부하고 색은 좀 더 진한 녹색이며 때때로 푸른 색조를 띄기도 한다.
- 로부스타
아라비카에 비해 강인한 종자로 열악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 해수면 기준 0~800m 정도의 아프리카 및 아시아의 열대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대개 로부스타는 쓴맛이 강하고 향기도 아라비카종에 비해 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다른 커피와 배합하거나 인스턴트커피를 제조하는데 사용한다.
- 그 외 대부분 탄자니아,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등 생산 국가명으로 부른다.
브라질, 콜롬비아 등 중미와 남미에서 대부분의 아라비카가 생산되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남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로부스타가 주로 생산된다.
4. 먹스팀! ㅋㅋ 커피숍 소개!
강릉에 테라로사와 보헤미안은 유명하죠!
우리나라 커피의 성지라 불리지만, 개인적으로
요즘은 예전 맛이 안나요… 몇 년 전 워낙 대형화 된 후부터 기업이 되어버렸죠.
맛 까지도. ㅠㅠ
- 영동고속도로를 지나다 일부러 빠질만큼 맛있는 집들.
커피볶는 계방산장 – 월정사 스님들이 이 집에서 비싼 스페셜티 고객이래요.
(속사 IC)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운두령로 728-3
드립커피5, 6000원정도 하고 게이샤 다이아몬드 15000원.
주인아저씨 프라이드가 강해요..전문가 포스 ㅎㅎ
카페 마노 (평창 IC)-
커퍼 마노님이 운영하다 전수하시고 제주도로 떠난 후에도 여전히 맛있어요
- 그냥 커피3잔이요~ 또는 오늘의 커피 5000원, 스페셜 티는 10000원인데
이집은 원래 핸드픽 열심히 해서 스페셜 티 밖에 없다는게 좋은 함정,
예가체프 아이스티도 여름엔 맛있는데 올여름도 여전할지 모르겠네요…
주소: 강원 평창군 봉평면 봉평북로 214-4마노지도.jpg
원주 터득골 (남원주 IC)
게이샤(케챠) 농장 바로 옆 원두를 쓴다고 자랑합니다.
북샵으로 좋은 책도 많고 치아바타가 맛있고 커피도 맛있어요
전남 광양의 아다지오
얼마전 출장 갔다가 발견한곳
멧돌로 갈아주는데 좋은 커피를 써요….뱅쇼도 팔아요
커피맛을 아는 저희가 맘에 들었는지 ^^ 주인아주머니가 와인을 병째 서비스 하더라고요.
n my water color painting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커퍼cupper가 알려주는 커피의 맛? 쓴 커피는 버려라! n water color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