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까지가 인간일까? (로봇시대를 사는 우리)

우리에겐 “우주소년 아톰”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소년 아톰》은 데즈카 오사무(手塚治虫)가 1952년부터 1968년까지 《쇼넨》(少年)지에 연재한 SF만화이다
출처 : 위키백과
9O2qUipKJRG9XbIqUTmoekRt0cQ.jpg

원작은 만화책이며 이후로 애니메이션 TV극과 극장판으로 방영되었고, 2009년 미국에서 아스트로 보이라는 이름으로 리메이크 하였다. 망했다. 사진한장으로 느껴보시라.
133F4E284B153D27C5.jpg

오늘 아톰이라는 이야기로 시작을 한이유는 한가지다. 사람이라는 기준이 뭘까? “양성의 생식을 통해 착란후 자궁에서 나온 생명체” 에 눈두개, 코, 입, 발가락 손가락 5개씩 이면 될까?

내이야기부터 해본다. 살다 보니 병원에 참 자주가고 여기저기 돈을 써야하는 곳이 많다. 맞다. 아픈곳이 많다.
그러다 보니 삶의 질이 남들보다 떨어진다. 과학(의학)이 점점 발전하는 시대를 살면서 난 한가지 소망이 있다. 안구교환이다. 항상 침침하고 까끌거리고있으며 점점 시력을 잃어가고 있다. (녹내장, 약을 써 늦추고는 있다)

그런데 사고를 조금만 넓혀보자. 그런식으로 생각해보니 지금도 꽤 많은 부위를 교환할 수 있다. 팔다리뼈를 금속으로 연결하고 인공관절에, 디스크, 심장까지 말이다. 그런데 근미래에는 이러한 신체 교환기술이 더 발전할 것이다. 우리가 익숙한 모습이 아닌 효율성에 우선을둔 장비로 교체될 수 있다.

그림 참조 : 의족 스프린터 출처 : 세계일보 기사중
20110831003636_0.jpg

생명의 탄생은 암수 양성의 생식을 통해서만 가능할까? 이것도 이미 과학에선 아닐 수 있다. 체세포를 통해 배아생성이 가능하다. 그말인즉 생물학적 엄마, 아빠가 꼭 필요하지 않다는 말이기도 하다.

도대체 인간이란 무얼까? 아톰으로 돌아와 보자 . 아톰은 댄마 박사의 작품이다. 댄마박사는 죽은 자신의 아들을 잊지 못한다. 그래서 로봇연구에 매진한다. 그 결과가 아톰이다. 우리는 아톰 씨리즈를 보면서 “아톰”에게서 “인간”을 느낀다. 왜일까? 그게 무얼까? 아톰은 감정도 있다. 기억도 가지고 있다. 자신을 만든 댄마박사를 사랑한다. 자신의 동생도 사랑하며 인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할줄도 안다.

로봇과인간과의 사랑, 로봇의 해탈, 인간이 되고 싶어하는 로봇등 수많은 영화에서 로봇과 인간은 비교되고 있다.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가까운 미래에는 노쇠한 신체를 모두 기계적으로 교환하거나 아니면 안드로이드에 자신의 뇌를 동기화 시킬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 기사 : 인간 뇌도 다운로드… 2050년엔 의식을 컴퓨터에 저장
[출처: 중앙일보] 인간 뇌도 다운로드… 2050년엔 의식을 컴퓨터에 저장

우리는 멀지 않은 미래에 올 혼란에 미리 대답을 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사족 : 30년후 쯤 우린 보스턴 다이내믹에서 최신형 몸을 고르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 The following part is needed to put filled in and added to your text, as otherwise it will not be included later on phase II on Triple A.
※ 리뷰 하단에 다음 두가지 항목 포함 필수 (미포함 시 차후 자체사이트에 반영 안됨)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어디까지가 인간일까? (로봇시대를 사는 우리)’

# aaa, jjm, kr, life, mini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