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T] 오랜만에 카드들을 마켓에 올리며.

요즘 스랜에 흥미를 잃어서 게임도 거의 안하고 있었는데, 카드가 좀 팔린다는 소식에 체크해 봤습니다.

이런 골드 카드도 팔리고



알파 카드 수집가들이 사가기도 하고, 리워드 카드 중 좋은 카드들도 좀 팔리고 하더군요.




스랜 게임 자체는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이번에 하이브로 옮겨가면서 보여준 행태에 대해서 많이 실망했기에 더 이상은 1원도 넣을 생각이 없습니다.

  • 하이브로 옮겨가는 것 자체야 뭐 운영자들이 선택할 문제이니 왈가왈부할 것 없는데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면 적어도 고객들에 대한 기본적인 파악과 배려를 해야죠.

  • 사실 완전 엑싯을 하고 싶은데 물량 자체를 블록딜로 하지 않는 이상 나갈 수가 없어서 문제군요.


이유가 어찌되었든 설립자이자 운영자가 정치적인 견해를 마구 감정적으로 표출하는 것도 문제고,

그런 정치적 견해나 감정이 비즈니스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걸 보고 참 어이가 없더군요.

이렇게 스팀에 자의던 타의던 남은 유저들에게 공지조차 올리지 않고 무시하는 걸 보니 조용한 투자자들을 얼마나 호구로 보는지 알 수 있겠습니다.

게다가 이 투자자 그룹에 속하는 KR의 경우 스랜 초기부터 트론 SEED 펀딩, 킥스타터 등등 많은 이벤트에서 지속적으로 상당한 분량의 구매력을 보여주었는데, 제대로 파악은 하고 있나 궁금하군요. 트론 SEED 펀딩만 해도 제가 주도해서 스랜 유저들 중 상당수가 같이 참여했었고 그때 KR의 비율이 거의 반이었는데.

최근에도 펀딩한다면서 메시지를 보내오던데, 대체 이렇게 찬밥 취급을 넘어서 X무시해놓고 누가 과연 신규나 추가로 투자할거라고 생각하는지 신기할 따름입니다. 심하게 낙관적인 건지 아니면 나와 정신세계가 다른건지.


이런 식으로 조금씩 올리고 있는데, 이것도 일이네요. 자동화해서 올리던가 해야지…




혹시 있으실지는 모르겠으나, 스랜 카드들이나 스랜 주식 매입 관심있으신 분들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메시지 주세요.

  • 괜찮은 딜이 나오기 전까지는 (아마 큰 규모라 힘들듯) 일단 무슨 토지 업데이트? 암튼 메이저 확장팩 나올때까지 기다려 볼 생각입니다. 그때 왠지 “펌핑”이 올 수 도 있을 것 같아서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PT] 오랜만에 카드들을 마켓에 올리며.’

[크립토 드래곤] 첫 결투장 시즌 보상

PVE의 경우 어차피 상위권 랭커들이 그대로 유지되기에 시즌이 의미가 있나 싶은데, PVP인 결투장의 경우는 그래도 시즌 보상이 뭔가는 있는게 맞겠죠.

크립토드래곤 운영진도 그렇게 판단했는지, 결투장은 매 시즌 각 속성별 별의 조각으로 시즌 보상을 주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시작한 이번 시즌은 “빛 속성 주간” 이군요.

  • 시즌 시작하고 잠시 3위를 찍은 기념 스샷.




시즌 보상이 자동지급이 아니고 클레임을 해줘야 하더군요. 하늘색 “보상 받기” 버튼 클릭.

25,000개를 주는군요.



랭킹 보상은 순위별로 다른데, 저는 8~13위에 해당했나 봅니다.

  • 정작 “본캐” 인 glory7은 순위가 별로인데, “부캐” 인 이 계정이 어쩌다보니 주력 계정이 되었네요.



확인해보니 10위였습니다. 어차피 상위권과는 랭킹 포인트 차이가 너무 나서 10위 보상은 만족할만한 수준.




근데 이 별의 조각은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보니까 스킬 강화할 수 있는듯한데…

이게 각 드래곤별로 적용되는 것 같아서, A급 스킬인 드래곤들에 써야 낭비가 아닐듯합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크립토 드래곤] 첫 결투장 시즌 보상’

[제안] 스팀잇을 개선하고 싶다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우선 UX/UI?

하이브 포크 때문에 한창 외국 유저들과 대화를 했었는데, 요즘 그 중 하나가 자주 생각납니다.

  • (포크 이후) 한국과 중국 커뮤니티만 남을 것이고, 그들의 요구에 지쳐서 저스틴이 스팀에서 손 뗄 것이다.

이 글 마지막에서 다시 언급하겠지만, UX/UI에 관련해서 구체적인 건의사항을 남겨주시면, 정리해서 (영어 번역 및 검수 포함) 재단측에 요청을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이 예상할 수 있던 것처럼, 현재 스팀잇은 한국과 중국 커뮤니티가 주력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눈에 보이는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요.

다만 상당수가 예상 (저주?) 했던 것처럼 스팀 가격이 폭락하거나 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오히려 안정적으로 슬금슬금 올라가고 있을 뿐.


하지만 이 시점에서 “요구에 지쳐서” 부분은 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요구에 지쳐서” 저스틴이 스팀에서 손 뗄 만한 상황은 아닙니다. 다만, 지금대로 간다면 그럴 확률도 배제할 순 없겠죠.


스팀에 대해서 애정이 있으니 그만큼 요구사항도 많고 이런저런 의견도 많을 겁니다.

그러나 실제로 뭔가 변화를 보고 싶다면, 실제로 뭔가를 직접 해야 합니다. 개발을 하던, 구체적인 계획을 짜서 제안을 하던. 그냥 불평불만만 늘어놔서는 아무것도 안 바뀝니다.

  • 스팀은 네이버/다음 등과 달리 사용자가 주주이기도 한 시스템이죠. 내 “주식” 가치를 올리리면 주주인 내게 직접 힘써야 하는 구조.

가장 많이 나온 불만인, 스팀잇 UX/UI부터 이야기해 봅시다.

이제 익숙해져서 그런지, 저는 사실 불편한점이 별로 없어지고 있어요.

굳이 제안하자면…

(1) 조회수 기능의 부활: 조회수를 보여주고 조회수/댓글수 높은 기준으로 대세글 보여주는 탭 추가

(2) 카테고리 기능: 원칙적으론 태그 사용으로 이게 되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안되고 있죠. 몇몇 핵심 태그를 카테고리화해서 네이버 카페에서 분류하는 것처럼 웹페이지 왼쪽에 나눠주면 좋겠습니다.

(3) 로그인 기능의 단순화: 포스팅키, 액티브키 등이 여전히 존재는 하지만, 유저가 원한다면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마스터키) 하나로 모든 기능을 다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물론 위험부담은 유저 본인이 감당하는 것이죠)


참고로…

가입이 어렵다, 라는 건 스팀코인판 등에서 참 가입하기 쉽게 이미 만들어 두었습니다. 제가 위에 제시한 (3) 도 이미 트립스팀 등에서 가능했지요.

요즘은 @wonsama님이 카톡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도 개발하고 계십니다. 솔직히 가입이 어렵다는건 이제 핑계가 되기 어려워요.

  • 이걸 스팀잇 사이트 자체에 구현하자, 이거는 좀 다른 이야기고 제안해볼만 한 점이긴 합니다.

UX/UI에 관련해서 구체적인 건의사항을 댓글이나 포스팅으로 남겨주시면, 정리해서 (영어 번역 및 검수 포함) 재단측에 요청을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체적”인 건의사항 이라 함은 보통 다음의 것들을 포함합니다. 예시로 “조회수” 관련 내용을 들었습니다.

  1. 현재 문제점: 조회수가 보이지 않아서 내 글을 누가 얼마나 읽는지 모르겠다 (보팅액이 높은 글이 반드시 조회수가 높지는 않으므로)

  2. 개선 목표: 보팅 액수가 보이는 곳 옆에 눈 모양의 아이콘과 조회수를 표기.

  3. 필요 작업: 이미 스팀에는 조회수 기능이 있었으므로, 이를 부활시키는 것으로 충분할 것으로 보임.

  4. 예상 효과: 신규 진입자들이나 덜 알려진 작가들이 보상 액수가 (초기에) 낮더라도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면 격려를 받아 커뮤니티에 오래 참여할 확률이 올라감.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제안] 스팀잇을 개선하고 싶다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우선 UX/UI?’

Selling "Leftover" hive-engine tokens

After being “blacklisted”, I didn’t really have much interest in participating HIVE and former steem engine tribes that decided to migrate.

  • I mean, most of my followers/people I follow are still here at STEEM, and I get downvoted heavily over there so why would I move.

Quick advice for Steemians like me…

  1. Even if you don’t plan to participate in HIVE, make sure to check your hive-engine token balances. It may be worth something.

  2. I find that using DEC market is the easiest and most cost-effective way to move HIVEp to STEEM (or STEEMp).


A while ago, I was notified that there would be some hive-engine tokens if I had matching steem-engine tokens. I looked them up, and it seems that I got bunch - in particular, LEO and PAL tokens were worth some money.

So I started unstaking them, and forgot about it.

And today, I was pleasantly surprised to find that I got about $200 worth tokens to sell (mostly LEO).



  • I still don’t know how this BEE and WORKERBEE things work - my understanding is that they are mirrors or ENG and EM(EMFOUR). I guess that I got WORKERBEE staked as I staked EM long time ago and they “airdropped” WORKERBEE, as I myself did not do anything.

Fortunately, the price of LEO token has gone up significantly since my unstaking. It was below 0.05 then.. and now it’s over 0.2. Cannot complain, right?



After selling LEO and PAL, I had about 740 HIVEp. Great!

  • I could have placed sell order to get a bit more, but I didn’t want to waste time so I just sold them at the bid price. Good thing is that both markets were liquid enough so that I could sell mine without moving prices.

I got some HIVEp. Now what?

As I need to convert HIVEp to STEEM (or STEEMP), I looked for some options. It seems that DEC was the best choice of transfer medium.

  1. DEC is listed in both steem-engine and hive-engine,

  2. Bid-ask spread is very small,

  3. Liquidity is great.

  • I assume that 2 and 3 are thanks to the Splinterlands team bots.

Let’s take a look. First, HIVE engine.

DEC price is pretty stable, and bid-ask spread is like 0.00001. Effective spread is also like 0.00002, which is basically zero.

I could convert my HIVEp to about 240K DEC.






Now let’s go to the STEEM engine.

Again, liquidity is great and I could trade with minimal slippage cost.




Good thing about using this method is that you don’t need to pay conversion in-and-out fee of 1% when you use steem or hive engines.



I easily transferred my DEC from hive engine at no cost, and I may easily transfer DEC to steem engine at no cost too.

So should I desire, I can send DEC to steem-engine and sell DEC for STEEMp whenever I want. Cool.


I noticed that they have “SWAP.STEEM” token too, but I didn’t bother studying this. Also, bid-ask spread seems to be a bit wider too.





  • Would appreciate if someone let me know how this works and whether it is more effective to “swap” between HIVE and STEEM.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Selling “Leftover” hive-engine tokens’

[tipU] STEEM과 HIVE 배당률이 크게 차이나기 시작했군요.

아직 스팀엔진에서도 거래되고 있는 tipU의 토큰 TPU를 들고 있으면, 1TPU당 약 1.18 스팀파워와 하이브 파워를 tipU에 임대해 준 효과와 동일합니다.

TPU 토큰을 꽤 오래 들고 있었는데, 이번 하이브 포크 이후로 이론적으로 자산이 2배가 된 것이지요.

그런데 더 신기한 점은, 요즘에 팁유의 배당이 스팀에서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반면, 하이브에서는 일정하다는 점입니다.

약 2주간의 기록을 보지요. 우선 스팀월드에서 볼 수 있는 스팀 배당입니다. 1.4스팀 수준에서 올라와서 요즘은 3스팀까지도 나오네요.



하이브 기록입니다. 거의 1.16으로 일정하군요.



  • 참고로 1.16만 해도 연환산 12% 정도의 이익률이라 나쁘지 않습니다.

엑셀로 정리해봤습니다. 매일 받는 스팀 갯수가 하이브 갯수의 거의 2배쯤 되는군요.



이게 요즘 전체 스팀파워 양이 줄면서 저자보상과 큐레보상이 같이 늘어나는 효과인듯한데… 자세한 분석을 아직 해보진 못했습니다.

그런데 확실히 남아있는 스팀 유저들의 경우 큐레보상이 늘어났다는 한 증거가 아닐까 합니다.

팁유의 배당은 전부 큐레이션 수익을 나눠주는 거니까요. 스팀에서는 팁유가 큐레이션을 엄청 잘하고, 하이브에서는 못하고 이런 것은 아닐테니 큐레이션 방법이나 전략이 같다고 가정하면 큐레이션 수익이 1토큰 파워당 늘었다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해석입니다.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tipU] STEEM과 HIVE 배당률이 크게 차이나기 시작했군요.’

[크립토 드래곤] 결투장 입장

대부분 게임의 꽃은 전쟁이죠. 온라인 RPG 계열은 PVP, 삼국지나 문명 등의 전략 시뮬레이션도 내정을 하는 목적은 내가 원하는 타이밍과 전장에서 승부를 내기 위함이니까요.

이번 업데이트에서 PVP 결투장이 생겼길래, 한번 실험해 봤습니다.

결투장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강화 재료들이 있고 랭킹도 따로 정해지고 보상도 풍부하기에, 당분간은 이게 주 컨텐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현재까지로는 PVE 시즌 랭킹 보상은 따로 없었어요.

결투장에 입장하면, 덱 3개를 구성해야 합니다. 내 덱 1, 2, 3번이 상대 덱 1, 2, 3번과 붙어서 2승 이상을 거두면 승리하는 방식인데요.

대전 상대는 hard와 normal 두 종류로 주어집니다. 골드를 써서 새로고침 할 수도 있습니다.



hard가 보통 더 센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드래곤 보기” 를 해서 눌러보면 더 만만한 경우도 꽤 있어요. Hard로 이겼을 경우 승리 보상이 더 짭짤하기에, 어차피 2:1 승리만 가능할 경우 hard를 할 수 있다면 하는게 좋습니다.

  • 그리고 3:0으로 이길 수 있을 것 같으면 그쪽을 택하는게 맞습니다. 보상이 훨씬 크거든요.




실제로 hard를 꽤 많이 하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3:0으로 이길 수 있는 기회는 자주 나오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상대 덱을 살펴보면… 보통 전투력이 강 중 약 이렇게 나뉩니다. 그러면 내 덱이 강 중 약 이렇게 있을 때, 상대 “강” 덱을 내 “약” 덱과 붙여서 1패를 하더라도, 상대 “중” 덱을 내 “강” 덱으로 잡고 상대 “약” 덱을 내 “중” 덱으로 잡으면 2:1로 이깁니다.




현재까지는 아직 매우 단순한 형태의 배틀이긴 한데, 그래도 이런 컨텐츠가 빨리 도입되어서 좀 할만해졌네요.

하지만 이런 류의 게임이 그렇듯… 일단 렙을 올려야 합니다. 그나마 오토 사냥이 되어서 그건 좋네요.


This page is synchronized from the post: ‘[크립토 드래곤] 결투장 입장’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